Strong Root



프로세스가 생성되면 Ready 상태가 된다.


Ready 상태란, cpu를 기다리는 상태이다.




그리고 곧 Running 상태로 넘어가서 cpu에게 실행된다.


Running 상태란, cpu에게 실행되어지고 있는 상태이다.


그러다가 자신에게 주어진 cpu 단위 사용시간 (cpu time quantum) 을 모두 소비하거나, 혹은 더 높은 우선순위의 작업 (예를들어 인터럽트) 에게 cpu를 선점당할 경우 다시 Ready 상태로 돌아가서 줄을 선다.




만약 Running 상태에 있다가 block I/O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함수 (예를들어 fopen) 를 호출한 경우 해당 함수가 리턴될 때까지 Waiting 상태가 된다.


Waiting 상태란 Sleep 상태와 같다. cpu를 기다리는 게 아니라 해당 I/O 의 종료를 기다린다. 신호 수신을 통해 Sleep 에서 깨어나면 Ready 상태가 되어 cpu에게 다시 실행되기를 기다린다.




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위 과정이 반복된다.






출처 : 2015년 한양대학교 강수용 교수님의 수업 및 내 지식


결론

* ArrayList 가 항상 옳다





Why

* ArrayList 에 대한 Vector 의 이점을 그나마 꼽자면, 멀티 쓰레드 환경에서의 동기화(synchronization) 를 꼽을 수 있다. Vector 의 소스코드를 살펴보면, 모든 동작(함수)에 대해 일일이 synchronized 가 붙어있다. 이것은 2가지 불행한 결과를 낳게 된다.



1. 프로그래머가 생각한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.


일반적으로 동기화는 개별 동작이 아닌 일련의 시퀀스에 대해서 이루어져야 한다. 하지만 Vector 는 단순히 개별 동작에 대한 lock 만 걸려있으므로, 대부분의 경우 Vector 를 사용하더라도 어차피 별도의 lock 이 필요하게 된다.


예를들어, 위 코드의 경우 빨간상자 안의 코드만 lock 이 걸릴 뿐 전체적인 시퀀스에는 걸려있지 않다. 따라서 멀티쓰레드 환경이라면 코드 실행 도중에 얼마든지 다른 thread 에 의해서 vector 가 변경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



2. 불필요하게 느려진다.


위에서 언급한 것처럼 일련의 시퀀스에 대해 lock을 한다면 한번만 하면 되지만, vector 를 사용할 경우 불필요한 lock 과 unlock 이 반복된다.

또한 lock 을 원하지 않을 때에도 lock 에 의한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되는 이슈도 있다.






출처

1. GrepCode

 * http://grepcode.com/file/repository.grepcode.com/java/root/jdk/openjdk/6-b27/java/util/ArrayList.java

 * http://grepcode.com/file/repository.grepcode.com/java/root/jdk/openjdk/6-b14/java/util/Vector.java

2. StackOverflow

 * http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1386275/why-is-java-vector-class-considered-obsolete-or-deprecated



결론

* StringBuilder 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.

* Thread Safe 가 필요하면 StringBuffer, 그렇지 않으면 String


 

String

StringBuffer 

저장공간 (Storage Area)

CSP (Constant String Pool)

힙 (Heap)

성능 (Performance)

빠름 (Fast)

느림 (Slow)

Thread Safe

No

Yes






Why (작성중)

StringBuilder 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.

작성중





Thread Safe 가 필요하면 StringBuffer, 그렇지 않으면 String

작성중






출처

1. GrepCode

 * http://grepcode.com/file/repository.grepcode.com/java/root/jdk/openjdk/6-b14/java/lang/String.java

 * http://grepcode.com/file/repository.grepcode.com/java/root/jdk/openjdk/6-b14/java/lang/AbstractStringBuilder.java

 * http://grepcode.com/file/repository.grepcode.com/java/root/jdk/openjdk/6-b14/java/lang/StringBuilder.java

 * http://grepcode.com/file/repository.grepcode.com/java/root/jdk/openjdk/6-b14/java/lang/StringBuffer.java


2. Articles & Blogs

 * http://javahungry.blogspot.com/2013/06/difference-between-string-stringbuilder.html

 * https://slipp.net/questions/271

 * http://namocom.tistory.com/360

예상비용 통계 (단위 : 원)

항공권

1,034,000  

여행사 비용 (2일차 해상투어)

420,000  

숙박비

420,000  

현지 교통비

70,000  

입장료

20,000  

현지 식비, 기념품비, 기타 비상금

135,000  

합계

2,079,000  

※ 환율에 따라 약간의 변동 가능




항공편 정보

No

항공편

출발

도착

좌석

1

진에어 (0057편)

인천

12/11 (금) 10:00

하노이

12/11 (금) 12:40

4석

2

진에어 (0058편)

하노이

12/14 (월) 13:50

인천

12/14 (월) 19:40

4석




일정 정보

1일차 (금) : 하노이

06:30

 집에서 인천공항으로 출발

12:40

 하노이 공항 도착

12:40 ~ 14:00

 수속 마치고 공항에서 점심 먹기

14:00 ~ 15:00

 공항을 나와서 택시타고 호텔로 이동 (약 45분, 약 35만동)


 호텔 위치보려면 클릭

15:00 ~ 15:30

 호텔 도착 후 체크인 및 짐 맡기기 (Somerset Grand Hanoi Serviced Residences)


 숙소 사진보려면 클릭 (여러장임)

15:30 ~ 17:00

 문묘 관람 (입장료 1만동, 08:00 ~ 17:00)

 (일정이 지체되면 베트남 민속학 박물관 관람으로 대체. 입장료 2만5천동, 08:30 ~ 17:30)

17:00 ~ 17:30

 구시가(Old Quarter)로 이동 (도보 약 30분)

17:30 ~ 18:30

 저녁 식사

18:30 ~ 19:30

 구시가 둘러보기

19:30 ~ 20:30

 호안끼엠 호 둘러보기

20:30 ~ 20:50

 숙소 복귀 (도보 약 20분)




2일차 (토) : 할롱 만 (하롱베이) (여행사 비용 1인당 $90)

05:30 ~ 06:30

 기상 후 간단한 아침식사 및 여행준비

06:30 ~ 10:30

 여행사(Handspan) 셔틀버스 탑승 후 하롱베이로 3.5시간 이동

10:30 ~ 12:00

 ? 대기

12:00 ~ 16:30

 나무배 탑승 후 뷔페 점심 식사 및 할롱 만의 아름다운 경치 구경


 하롱베이 사진보려면 클릭 (여러장임)

16:30 ~ 17:00

 ? 대기

17:00 ~ 20:30

 여행사 셔틀버스 탑승 후 하노이 숙소로 3.5시간 이동




3일차 (일) : 하노이

06:00 ~ 07:30

 기상 후 호치민 영묘단지로 이동 (택시 이용. 약 2만5천동)

07:30 ~ 10:00

 호치민 영묘단지. 줄 서서 입장 기다리는 중에 아침 간단히 해결

10:00 ~ 11:30

 호치민 박물관 관람 (입장료 1만5천동)

11:30 ~ 12:00

 먹자골목 포 깜찌(Pho Cam Chi) 로 이동 (도보 약 30분)

12:00 ~ 15:00

 골목 구경, 점심 식사, 카페에서 휴식

15:00 ~ 15:30

 베트남 민속학 박물관으로 이동 (택시 이용. 약 17분. 약 10만동)

15:30 ~ 17:30

 베트남 민속학 박물관 관람 (입장료 2만5천동)

17:30 ~ 19:00

 저녁 식사

19:00 ~ 21:00

 자유




4일차 (월) : 하노이

06:00 ~ 10:00

 자유

10:00 ~ 10:30

 호텔 체크아웃

10:30 ~ 11:30

 공항으로 이동 (택시 이용. 약 45분. 약 35만동)

11:30 ~ 13:50

 공항 대기 후 비행기 탑승

13:50 ~ 19:40

 인천공항 도착


'CGun의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서울근교 드라이브 명소 지도  (1) 2016.06.16
애창곡 목록 (상시 작성중)  (0) 2015.04.11
튜닝 소개  (0) 2015.04.11
오늘따라 더 이뻐서 한컷  (0) 2015.04.11
첫 물피도주를 당하다  (0) 2015.04.10

난이도 ★


문제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



 

힌트

 문자열 처리에 주의할 것.




이하는 코드입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#include <stdio.h>
#include <string>
#include <iostream>
 
#define KG_TO_LB 2.2046
#define LB_TO_KG 0.4536
#define L_TO_G 0.2642
#define G_TO_L 3.7854
 
#pragma warning(disable:4996)
 
using namespace std;
 
int main() {
    int N;
    scanf("%d\n", &N);
 
    for (int i = 1; i <= N; i++) {
        string input;
        getline(cin, input);
 
        int pivot = input.find(' ');
        string left (input, 0, pivot);
        string right(input, pivot + 1, string::npos);
 
        float num = atof(left.c_str());
        float resultNum;
        string resultUnit;
        if (right.compare("kg"== 0) {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Num = num * KG_TO_LB;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Unit = "lb"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if (right.compare("lb"== 0) {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Num = num * LB_TO_KG;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Unit = "kg"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if (right.compare("l"== 0) {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Num = num * L_TO_G;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Unit = "g"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if (right.compare("g"== 0) {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Num = num * G_TO_L;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Unit = "l"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{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Num = 0.;
            resultUnit = "";
        }
 
        printf("%d %.4f %s\n", i, resultNum, resultUnit.c_str());
    }
 
    return 0;
}
cs

 

난이도 ★


문제를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



 

힌트

 오버플로우(overflow)에 주의할 것.




이하는 코드입니다.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#include <stdio.h>
#include <math.h>
 
#pragma warning(disable:4996)
 
unsigned long convert(const unsigned long num) {
    unsigned long first = num / pow(2.24);
    unsigned long second = (num / pow(2.16)) - (first * pow(2.8));
    unsigned long third = (num / pow(2.8)) - (second * pow(2.8)) - (first * pow(2.16));
    unsigned long fourth = num % (unsigned long)pow(2.8);
 
    return first + second * pow(2.8+ third * pow(2.16+ fourth * pow(2.24);
}
 
int main() {
    int C;
    scanf("%d", &C);
 
    while (C-- > 0) {
        unsigned long num;
        scanf("%lu", &num);
 
        printf("%lu\n", convert(num));
    }
 
    return 0;
}
cs

 

 

'뿌리튼튼 CS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odility - BinaryGap 정답 및 해설  (0) 2017.06.06
Conversions(CONVERT) 정답 코드  (0) 2015.10.09
Mispelling(MISPELL) 정답 코드  (0) 2015.04.10
터보모드(TURBOMODE) 정답 코드  (0) 2015.04.10
HOTSUMMER 정답 코드  (0) 2015.04.10

1
2
3
4
5
6
7
8
9
var obj = document.getElementById("foo");
 
obj.value = "hi";
 
...
 
obj.value = "hello";
 
...
cs




Android 의 ViewHolder 와 거의 같은 개념이다.


DOM 을 뒤져서 get Element 하는 코드는 매우 느리기 때문에, (Android 에서는 findViewById)


해당 element 를 다시 참조할 일이 있다고 예상되면


다시 찾지말고 기존에 찾았던 것을 변수에 저장해놓고 다시 이용한다.






출처 : http://www.w3schools.com/js/js_performance.asp






ps. 드디어 JS Tutorial 정주행 완료! ^^

for (int i = 0; i < mArrayList.size(); i++) {
cs


w3schools 에서 JavaScript 를 공부하다가, 이 흔한 반복문에 의문을 제기하는 글을 보았다.


size() 메서드를 매 loop 마다 실행하는 것은 낭비라는 것이다.


그들은 아래와 같이 개선하는 것을 제안했다.




1
2
int n = mArrayList.size();
for (int i = 0; i < n; i++) {
cs




② 혹은 scope 최소화 측면에서 조금더 개선된

for (int i = 0, n = mArrayList.size(); i < n; i++) {
cs






하지만.


그렇다면 내가 봐왔던 뛰어난 코드들은 왜 저런식으로 코딩하지 않았을까?


의문이 들어 ArrayList 소스코드를 직접 열어보았다.
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package java.util;
 
public class ArrayList<E> extends ...
{
    ...
 
    private int size;
 
    ...
 
    ...
 
    public int size() {
        return size;
    }
 
    ...
}
cs




그렇다. size() 는 단순히 size 변수값을 반환하는 O(1) 의 메서드인 것이다.


당연하게도, 미련하게 처음부터 count 하는 O(n) 이 아닌 것이다.



게다가 JVM 이 똑똑하여서 loop 내에서 size 값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,


따라서 자동으로 최적화를 한다고 한다.



덧붙여서, ArrayList 객체가 아닌 일반 array (ex. int[]) 의 length 도 같은 방식으로 구현이 되어있다고 한다.






나의 결론 :

좋은 접근이지만 결론적으로는 가독성만 떨어질 뿐이다.






출처들

그들의 주장들:

http://www.w3schools.com/js/js_performance.asp

http://egloos.zum.com/benelog/v/1382604


우리의 주장들:

http://grepcode.com/file/repository.grepcode.com/java/root/jdk/openjdk/6-b14/java/util/ArrayList.java

http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863469/what-is-the-time-complexity-of-a-size-call-on-a-linkedlist-in-java

http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17998386/time-complexity-or-hidden-cost-of-array-name-length-in-java